-
MZ세대 및 알파(Alpha)세대를 위한 미래 유망한 산업 분야 및 교육기관은 어디일까?경제적 자유 및 트랜드 2023. 11. 2. 00:47
한국은 지금까지 게임산업이 많이 발전해 있습니다.
앞으로 많은 MZ세대.. 알파(Alpha) 세대는 게임산업에 높은 관심과 종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증명하듯 e-스포츠 산업은 최근 10년간 한국 경제 성장률(연평균 3.2%)보다 3배 이상 고성장하고 있는(연평균 9.8%) 대표 콘텐츠 산업으로 고용 유발 계수가 타 산업 대비 높은 청년 고용 친화형 산업이라고 확인됩니다.
그럼 우리는 이러한 미래를 위하여 어떠한 교육기관에 관심을 가져야 할까요?
미래의 게임산업을 육성할 수 있고 경제적 자유 및 트랜드를 찾을 수 있은 육성기관에 대하여 공유해보려 합니다.
[미래의 유망한 교육 이미지]
'게임계의 하버드'로 불리는 디지펜 공과대학(DigiPen)
디지펜공과대학은 미국 워싱턴주에 1998년 설립됐으며 싱가포르와 스페인 빌바오에 분교를 두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계명대학교와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무와 프로젝트 중심의 커리큘럼을 통해 졸업생들은 라이엇게임스 등 게임업체뿐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애플 등 세계 유수의 IT 업체들에 취업하고 있습니다.
또한 550개 이상의 글로벌 게임업체 동문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9년 미국 교육부가 발표한 미국 대학 졸업생 소득 순위에서 상위 1%를 차지도 한적 있습니다.
또한 설립 당시 워싱턴주에는 게임회사가 9개뿐이었으나, 2019년 기준으로 디지펜이 위치한 시애틀 레드몬드 지역에만 400개 정도의 게임회사가 자리하고 있으며, 약 2만 3000명의 고용을 창출을 했습니다. 레드몬드는 디지펜 설립 후 세계적인 게임산업 허브로 성장했습니다.
디지펜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은 (A Leader in Game Development Education) 어떨까요?
미국 워싱턴 주의 레드먼드 시에 위치한 게임 개발 교육에 특화된 공과대학으로, 컴퓨터 사이언스와 게임 디자인 관련 학사 프로그램들을 메인으로 한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4년제 게임 프로그래밍 특화 학사과정을 창설한 이래 현재까지도 이 과정을 운영해오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게임 아트, 애니메이션, 머신 러닝(2019년 신설), 게임 디자인, 게이밍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등 게임 개발의 전분야를 커버하는 9종의 학사과정 & 2종의 석사과정을 운영 중입니다.
[미래산업 : 게임산업 이미지]
미래의 디지펜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일까요?
체계적인 게임 인재을 통한 고액연봉, 네트워크 등인듯합니다. 하지만 디지펜은 매년 미국 입시에서 수백 대 1의 지원율을 기록할 만큼 인기가 있는 대학입니다.
천재나 똑똑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에 관심이 있는 창의적 인재라면 누구나 디지펜의 실무 중심 교육 환경을 통해 게임산업에 꼭 필요한 핵심인재로 성장을 시키고 있다고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 대학은 1~2학년 때 교양 수업 위주로 하고 3~4학년 때 본격적으로 전공 수업을 하지만, 디지펜은 1학년 때부터 전공과목을 바로 가르친다. 4년 동안 게임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운다고 합니다. 또한, 디지펜은 매 학기마다 4~5개의 핵심과제를 실무 중심으로 진행하며 본인 수준에 맞는 프로젝트에 참여해 배운 것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물론 전공 선택에 따라 다르지만 프로젝트 디렉터, 아트 디렉터, 테크니컬 디렉터 등 각각의 역할에 맞춰 배우는 게 총괄 역할은 게임의 A부터 Z까지 전반적으로 배우기도 하고 프로그래밍, 디자인, 음악 등 특화된 교육 과정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여러 과정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학생들이 공동으로 협업을 하며, 핵심은 게임을 하나 만들어내는 것이고 학생들이 협업해야 하는 환경에 있기 때문에 졸업 후 게임회사에 들어가서 쉽게 적을 할 수 있게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협업과정 : 교육과정에 대한 이미지]
그럼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에서는 직접 교육을 받을 수 있을까요?
현재 한국에서는 대구광역시 계명대와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 30명 수준 과정입니다.
4년 과정인데 첫 2년은 계명대 캠퍼스에 파견된 디지펜 교수들이 영어로 교육하고, 나머지 2년은 미국 디지펜 캠퍼스에서 교육 중이라고 합니다.
졸업 후 취업이 잘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게임업체에 들어가 좋은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 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최근 2023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미국 시애틀 레드몬드 소재 디지펜 공과대학의 운영 이사(COO)와 만나 상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양해각서 내용은 세계적인 e-스포츠 교육 기관인 디지펜 공과대학과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e-스포츠 클러스터 조성(청라지구)하는 내용이라하며 이지역이 조성완료된다면 앞으로 더욱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집니다.
'경제적 자유 및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시티(Megacity)... 변화는 과연 무엇일까? 효과성, 그리고 또 다른 시선과 방법 (3) 2023.11.08 다음 세대(자녀들)을 위한 주택 준비... 경기도 성남시, 고양시, 부천시, 얀양시, 군포시를 주목해서 부동산을 준비하여 봅시다. (1) 2023.11.05 도심항공교통 제도적 기반 마련.. 미래의 건물가치 1층에서 고층부로 변화 : 2025년 상용화, 2030년 가속화 (2) 2023.10.30 2029년, 새롭게 도약하는 울산… "투자가치 전환 기대감" (2) 2023.10.28 부동산 및 주택시장, 빅 웨이브의 시작 : 2025~2026년 (3) 2023.10.25